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정치 정치/군정

대승정밀 노동자 사망…중대재해 엄정 수사·특별근로감독 촉구

송효철 기자 입력 2025.07.24 17:27 수정 2025.07.24 05:27

“설비 재가동은 파렴치…노조 탄압 실태도 밝혀야”

김제 지평선산단 내 대승정밀에서 노동자가 작업 중 로봇에 머리를 맞고 끼이는 사고로 사망한 가운데, 민주노총 전북본부와 금속노조 전북지부가 24일 익산 고용노동지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승그룹 전체에 대한 특별근로감독과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사고는 지난 23일 오전 8시 45분경 발생했다. 혼자 작업 중이던 노동자가 기계 사이에 끼인 채 발견됐으며,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같은 날 숨졌다. 그러나 대승정밀 측은 사고 직후 현장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설비를 재가동한 것으로 알려져 유족과 노동계의 분노를 사고 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2인 1조 근무, 안전모 착용, 안전센서 작동 같은 기본적인 조치만 지켜졌더라도 막을 수 있었던 사고”라며 “이는 명백한 인재이자 대승정밀의 안전 불감증이 낳은 결과”라고 비판했다.

기자회견에서는 대승정밀뿐만 아니라 대승그룹 전체에 대한 문제도 제기됐다. 대승정밀과 함께 그룹 내 또 다른 계열사인 ‘일강’에서도 최근 수년간 반복적인 산업재해가 발생했고, 노동자들은 일상적으로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주장이다. 실제로 일강에서는 올 2월 이후 최소 22건의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했고, 최근에는 유압 배관 파손으로 화재 위험까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뿐만 아니라, 금속노조 가입 이후 회사 측의 노조 탄압도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노조 선전물 철거, 조합원 출입 방해, 현장 순회 사찰 등 노골적인 부당노동행위가 이뤄지고 있다”며 “법적 절차에 따라 조사를 받고 있는 부회장을 포함해 경영진에 대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동안전국장 염정수 씨는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생명과 안전에 관한 규제는 강화되어야 한다’고 밝힌 만큼, 고용노동부는 대승그룹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즉각 실시하고,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명확히 조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고용노동부에 ▲사고 현장 작업중지 명령 ▲경영책임자 수사 및 기소 ▲대승그룹 전 계열사 특별근로감독 실시 등을 요구했다.

민주노총 전북본부는 향후 유가족과 협의해 고인의 명예를 지키고,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한 후속 대응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