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설/칼럼 사설

사설-현장 체험학습, 안전 인력 배치 등 개선책 우선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입력 2025.03.13 17:23 수정 2025.03.13 05:23

새 학기를 맞아 일선 학교의 현장체험 학습 진행 여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안전사고 발생 시 처벌대상으로 교사들이 자유롭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장 체험학습에 전념해야 하는 교사들이 안전 문제까지 감당하기란 쉽지 않은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개선책 마련이 절실하다.

지난 2022년 11월 춘천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생이 현장 체험학습 중 교통사고로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에 대해 법원은 지난달 11일 담임교사에게 금고 6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이러한 판결 결과를 두고 교사들은 현장 체험학습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현장 체험학습 중 발생한 사고에 대한 책임을 교사들이 짊어져야 한다는 부담감을 떨칠 수 없다.

전북교사노조는 최근 도내 유·초·중·고·특수 교원 1,336명을 대상으로 현장 체험학습 실시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91.4%가 2025학년도 현장체험학습이 예정돼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85% 응답자는 현장학습에 대한 반대 의사를 표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45.7%는 전면 폐지를 답했다. 아울러 40.7%는 학교안전법 개정안보다 더욱 강화된 법안 마련 전까지는 실시하지 않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오는 6월 교원의 민형사상 면책 조항을 담은 학교안전법 개정안이 시행될 예정이다. 하지만 교사에 대한 면책 조항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불만도 나온다.

도 교육청은 교사들의 안전한 교육활동을 위해 보조인력 배치 관련 조례 제정을 준비 중이다.

현장 체험학습은 학교 밖에서 직접 다양한 체험을 통해 학생들이 구체적·경험적 지식을 얻고 창의성을 키울 수 있는 교육활동이다. 교실 내 보다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에서 예측 불가능한 사고에 대해 인솔교사인 담임교사가 책임을 지는 것은 가혹하다는 것이다. 교사의 교육활동에 제약이 따르는 것으로, 학생들에게도 교육 측면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이 행복하다. 역으로 학생의 행복은 교사의 행복으로 이어져야 한다. 이것이 교사와 학생 간 맞물리는 사제지간의 관계다.

교사들이 안심하고 교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 학생들 역시 안전이 담보된 환경 속에서 현장 학습활동에 전념하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현장 체험학습 시 학생의 안전관리를 지원할 인력들을 배치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위탁해서 진행하는 교육도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방안이다. 학교가 자체적으로 추진하는 경우는 안전 인력 배치와 재정 등 세부적인 기준 마련으로 현장 체험학습의 안전성을 담보해야 한다.

현장 체험학습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학생들에게 교육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하기 위해 안전 관리 매뉴얼을 비롯한 다양한 개선책을 적용해야 한다. 현장 체험학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교사들을 안전문제 책임론으로 묶어 희석되지 않도록 ‘신의 한 수’의 개선책 마련이 기대된다.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