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전북특별자치도, ‘스마트농업 이니셔티브’ 확보

송효철 기자 입력 2025.07.22 17:07 수정 2025.07.22 05:07

농생명산업 수도 향해 본격 질주
대규모 스마트팜 다이아벨트 조성



도는 민선8기 도정 4년차를 맞아 ‘스마트농업 이니셔티브’를 공식화하고, 대규모 스마트팜 단지 조성과 공공형 수직농장, 창업지원 체계 구축 등 세 축을 중심으로 스마트농업 기반을 전국 최초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22일 밝혔다.

도는 김제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시작으로 무주, 진안, 장수, 남원, 고창 등 도내 각 권역별로 스마트팜 거점을 확대하고 있다. 오는 2027년까지 총 2,165억 원을 투입해 8개소, 약 32ha 규모의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 중이며, 김제 새만금과 남원에는 농지 기반을 갖춘 창업단지도 구축 중이다.

특히 장수군에서는 총 300억 원을 들여 조성한 4ha 규모의 스마트온실이 지난 6월 준공돼, 현재 청년농들이 입주해 토마토를 재배하고 있다. 이로써 혁신밸리에 이은 두 번째 결실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같은 달 장수에서는 전국 최초로 공공형 스마트 수직농장도 문을 열었다. 외부 환경과 무관하게 연중 안정적인 작물 생산이 가능한 이 시설은 2,000㎡ 규모로, 재배실과 작업장, 저장고, 회의실 등을 갖추고 있다.

현재 6명의 청년농이 입주해 교육과 시험 재배를 거친 뒤 본격 수확을 시작했으며, 전북도와 CJ제일제당, 장수군이 체결한 협약에 따라 유통과 기술지원도 병행된다. 민간 협력을 바탕으로 한 공공형 수직농장 모델이 현실화된 첫 사례다.

전북도는 스마트농업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교육→예비창업→정착까지 아우르는 단계별 창업지원 시스템을 구축했다. 청년들은 김제 혁신밸리 내 창업보육센터에서 20개월간 재배 교육을 받은 뒤, 6개 시·군의 임대형 스마트팜에서 예비 창업을 경험하고, 이후 온실과 ICT 설비가 패키지로 지원되는 창업시설로 연계될 수 있다. 총 64개소의 창업 스마트팜이 이를 뒷받침하게 된다.

민선식 전북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스마트농업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로 위기에 처한 농업의 대안이자 미래 성장동력”이라며 “청년농 유입과 지역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스마트농업 생태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송효철 기자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