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교육정책의 현장 실현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교원들과 직접 소통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유정기 도교육감 권한대행은 지난 22일 김제시 포랑 세미나룸에서 초등학교 교장, 교감, 교무부장, 수석교사 등과 함께 정책 간담회를 열고,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전북교육청 주요 정책에 대해 현장 교원들과 심층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정책 수용성과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약 2시간 동안 진행된 회의에서는 교육과정, 수업, 평가, 기초학력, 학력신장 등 초등교육의 핵심 주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특히 교육과정 분야에서는 ‘학교자율시간’ 운영과 관련해 실질적 지원책이 논의됐다.
참석 교원들은 교육청의 기본 방향에는 공감하면서도 “과목 개설과 운영 시 교사 부담이 크다”며, 실습 중심 연수와 찾아가는 연수 등 현장 밀착형 지원의 확대를 요구했다.
수업과 관련해서는 전북교육청이 중점 추진 중인 ‘개념기반 탐구수업’에 대해 다양한 현장 의견이 제시됐다. 교원들은 이 수업 방식의 교육적 가치에 공감하면서도, “학생 수준에 따른 수업 재구성과 평가 기준의 구체화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평가 분야에서는 컴퓨터 기반 평가(CBT) 시스템이 도입될 경우, 실제로 교원의 행정업무 경감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정착되기를 기대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기초학력 진단 영역에서는 ‘향상도 검사’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 의견이 나왔다. 교원들은 “세밀한 학습 진단이라는 검사 취지에는 동의하지만, 연 3회 실시되는 일정은 과도하다”며, 검사 횟수 조정과 보완책 마련을 요청했다.
또한 학력신장 지원 방안 중 하나인 학습 플래너에 대해서도 개선 의견이 제기됐다. 일부 교원들은 “현재 플래너는 지나치게 정형화되어 있고, 고학년 여학생의 감성이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디자인과 구성이 미흡하다”며 사용자 맞춤형 제작을 건의했다.
전북교육청은 이번 간담회에서 수렴된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각종 정책사업을 재검토하고,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실천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유정기 권한대행은 “교육정책은 교실이라는 현실 공간에서 구현될 때 진정한 의미를 가진다”며, “앞으로도 교원들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학생과 학교에 실제 도움이 되는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