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이 파탄지경이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로 소상공인은 가게 문을 닫고 시민들의 지갑은 굳게 닫혔다. 결국 내수 부진으로 이어지면서 지역경제는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특히 탄핵 정국을 비롯한 정치 불안으로 환율이 급등했다. 월·달러 환율이 1,500원에 육박하고 있다.
환율이 높아지면 수입 물가가 높아지고 소비자물가도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그 부담은 소비자인 시민의 몫이 된다. 물가는 한 번 오른 뒤 내리기란 쉽지 않다.
예측이 현실이 됐다. 새해 벽두부터 식료품과 생활필수품, 화장품 등 가격 인상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이다. 고물가 탓에 시장 바구니가 가벼워졌던 상황에서 거듭된 물가 인상은 시민들을 망연자실에 빠트렸다.
그나마 시민들의 부담을 덜어줄 지역화폐가 눈길을 끈다. 고물가 상황에서 단비와 같다. 다만, 한정적인 예산에서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만큼 속도전이 예상된다.
대표적으로 고창군을 꼽을 수 있다. 카드형 고창사랑상품권 구매 시 최대 20% 할인을 제공한다. 총할인율 20% 가운데 10%는 상품권 구매 시 선 할인되고 나머지 10%의 경우 추가 적립금(캐시백)으로 지원된다. 구매 한도는 100만 원이다.
김제시와 남원시, 순창군의 경우 순창사랑상품권 구매 한도를 7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군산시는 군산사랑상품권 규모를 4,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월 구매 한도 40만 원을 50만 원으로 상향한다. 전주시도 설 명절에 500억 원 규모의 전주사랑상품권(돼지카드)을 발행한다. 급속히 위축된 지역경제의 응급처방을 위해 6일부터 상품권 발행을 개시한다.
전주시의 경우 아쉬움이 크다.
코로나19가 창궐했던 지난 2021년 당시 2,780억 원을 발행했지만, 올해의 경우 1,500억 원 규모로 대폭 축소됐다.
교부세 감액과 어려운 재정 여건 탓이다. 하지만 내수경기를 진작시키고 혼란스러운 정국으로 침체한 지역경제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발행 규모를 2,000억 원 규모로 늘릴 계획이다.
시는 상반기에만 민생경제 회복에 초점을 둬 1,350억 원을 집중 발행할 방침이다.
민생회복(안정)지원금도 시군들이 앞 다튀 지급하기로 했다.
정읍시와 남원시, 완주군은 주민 1인당 30만 원씩 지급하고, 진안군의 경우 20만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 역시 지난 2일 '2025 경제정책방향'을 통해 온누리상품권을 연간 역대 최대 규모인 5조 5,000억 원 규모로 발행하고, 사용처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추석에 발행된 온누리상품권은 할인율이 15%였으나, 조기 소진됐다.
높은 할인율은 물론 구매 한도가 200만 원으로 높아 인기가 많다.
이용자 수는 많지 않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제공하는 혜택을 이용하는 짠테크(짜다+재테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환경부의 탄소중립포인트제의 경우 가정, 상가 등에서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량을 최근 2년 평균보다 5% 이상 절감하면 감축률에 따라 인센티브 등 혜택을 받는다.
설 명절을 전후로 불안한 정국은 안정되고, 위축된 소비도 활성화됨으로써 소상공인 매출도 증대해 지역경제가 빠르게 회복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