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정치 정치/군정

전북지역 소비 한파…생활필수품 소비 줄며 지역 상권 ‘울상’

조경환 기자 입력 2025.04.30 17:46 수정 2025.04.30 17:46

대형소매점 판매 7.2% 감소… 자영업자 “할인해도 반응 없다”
생산은 늘었지만 소비는 뒷걸음… 체감경기와 실물경기 온도차 커져


“할인해도 예전 같지 않아요. 예전엔 행사하면 그래도 발길이 있었는데, 요즘은 가게 앞을 지나는 사람도 줄었어요.”

전주시 덕진구에서 10년 넘게 의류매장을 운영 중인 김모(58·여)씨는 3월 한 달간의 매출을 떠올리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봄철이면 옷을 갈아입는 수요가 있어야 할 시기지만, 가게를 찾는 손님은 눈에 띄게 줄었다. 실제 통계에서도 이러한 체감경기는 수치로 드러났다.

30일 호남지방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3월 전북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북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는 93.8로,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했다. 이는 광주(-4.1%), 충남(-3.8%) 등 인근 지역보다도 큰 하락 폭이다.

판매 감소가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생필품 중심 소비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가전제품은 -21.7%, 의류는 -15.0%, 기타 생활용품은 -15.9%로 집계됐다. 오직 오락·취미·경기용품만이 15.9% 증가해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였다.

전주시 완산구에서 가전제품 대리점을 운영 중인 박모(48·남)씨는 “비수기인 건 이해하지만, 올해는 유난히 조용하다. 예전엔 그래도 신혼부부나 이사철 수요가 있었는데, 지금은 제품 문의조차 드물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여가 중심 소비는 일시적인 반응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며, 의류·가전 등 생활밀착형 소비의 감소가 지역 상권에 더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소비 위축은 결국 전북도민들의 가계 지출 구조 변화와 맞닿아 있다. 고물가·고금리 상황 속에서 식료품 같은 고정 지출을 제외한 소비는 최대한 줄이려는 분위기가 퍼지고 있는 점이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생활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 대응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올해 지역화폐인 ‘전북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확대하고, 소상공인 카드수수료 지원과 특례보증 규모도 늘렸다.

하지만 현장의 반응은 여전히 냉랭하다. 전주 완산구에서 식품 소매점을 운영하는 조모 씨(62)는 “할인을 해도 소비자 반응이 예전 같지 않다”며 “단기적인 지원보다도 물가 안정과 소득 회복처럼 체감할 수 있는 대책이 더 절실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중장기적으로 ▲실질소득 향상 ▲생활물가 안정 ▲내수활성화 인프라 투자 등이 병행돼야 지역경제의 소비 기반이 실질적으로 회복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지역 유통업계와 상인들은 “가격을 낮추고, 할인 행사를 해도 소비자 반응은 예전 같지 않다”며 “생활물가 안정, 가계소득 확대, 지역사랑상품권 지원 등 실질적 체감이 가능한 소비 진작 대책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