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식품·유통업계가 가공식품 물가안정을 위한 협력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4일 식품 및 유통업계와 간담회를 열고, 여름철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가공식품 할인행사를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최근 가공식품 소비자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가공식품 소비자물가는 전월 대비 0.3%, 전년 동월 대비 4.6%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초콜릿, 김치, 커피 등의 상승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국제 원·부자재 가격과 에너지비, 인건비 등의 상승이 식품기업의 원가부담을 가중시킨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코코아 가격은 2023년 톤당 3,308달러에서 올해 6월 기준 9,613달러로 3배 가까이 뛰었고, 커피(로부스타) 역시 같은 기간 2,490달러에서 4,190달러로 인상됐다.
반면, 팜유(2025년 6월 기준 883달러/톤)와 설탕 등 일부 원재료 가격은 안정세를 보이며 기업 부담 완화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 식품기업과 유통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여름철 할인행사를 통해 소비자 체감 물가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7~8월 중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라면, 빵, 음료, 아이스크림, 삼계탕 등 여름 성수기 소비가 많은 품목을 중심으로 할인행사를 진행하고, 특히 최근 가격 상승률이 높았던 김치는 종가집, 비비고 등 주요 김치업체가 참여해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할인을 실시한다.
세제·재정적 지원도 병행하고 있다. 커피·코코아 등 21개 수입 원재료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부가가치세를 2025년 12월 31일까지 면제하며, 국산농산물 원료구매자금도 본예산 1,056억 원에 추경 200억 원을 추가 반영해 지원을 확대했다.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할당관세 물량을 확대 적용하고, 으깬과일류, 계란가공품 등 주요 원료에 대한 수입 장벽도 완화해왔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소비자 체감도가 높은 가공식품 가격의 안정은 서민 경제에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아 여름철 소비자 부담을 덜고 내수 소비를 진작시키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