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피지컬AI 실증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비 229억 원을 확보하며, 지역산업 지형에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
당초 정부 추경안에는 빠졌지만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정동영 국회의원의 주도로 증액 반영되며 총 사업비 382억 원 규모의 사업이 본격화된다.
전북도는 확보 예산을 바탕으로 전주·완주 일대에 연구개발-실증-상용화를 아우르는 첨단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완주 이서지역과 전북대 전주캠퍼스가 중심 거점이 되며, AI·반도체·로봇·모빌리티 등 신산업 집적지로 도약이 기대된다.
피지컬AI는 물리적 공간과 결합한 현장 중심 AI기술로, 제조업·자율주행·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이번 실증사업은 산업 현장에 투입 가능한 AI기술을 검증하고, 국내 기술주권 확보에 기여할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에는 전북대, 카이스트, 성균관대 등 주요 대학도 참여한다. 전북대는 캠퍼스 내 실증부지를 제공하고 산학연 협력 플랫폼을 구축해 청년 인재 양성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사업은 전주·완주 통합 논의와도 맞물려 있다. 실증 인프라가 양 지역에 걸쳐 조성되며, 통합 시 행정 효율성과 예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동영 의원은 “통합형 균형발전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며 “새로운 산업 전략 거점으로 전북이 도약하는 계기”라고 강조했다./송효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