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차세대 인공지능 기술인 ‘피지컬AI’ 실증 거점으로 본격 도약할 채비를 갖췄다.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전북 주도의 피지컬AI 실증·연구 기반 조성 사업을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으로 의결하면서, 향후 5년간 1조 원 규모의 대형 국책사업이 추진된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 18일 이재명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에서 ‘협업지능 피지컬AI 기반 SW 플랫폼 연구개발 생태계 조성’ 사업이 예타 면제 안건으로 의결됐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기재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와 과기부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등의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이번 예타 면제 결정은 단순한 연구개발 지원을 넘어 지역 균형발전 정책과도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수도권에 집중돼 온 첨단산업 인프라를 지방으로 분산시키려는 정부 기조 속에서, 전북이 국가 전략산업의 실험무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또한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글로벌 기업 및 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이 강화될 가능성도 주목된다. 특히 자동차·농기계 등 전북 주력 산업과 연계된 맞춤형 AI 솔루션 개발은 국내를 넘어 국제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분야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전북이 이번 기회를 활용해 국제적 네트워크를 선점한다면 기술 주권 확보는 물론, 지역 경제에도 장기적인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고 분석한다.
피지컬AI는 단순 소프트웨어 영역을 넘어 로봇·차량·공장 등 물리적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로, 제조업과 물류,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다. 세계적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도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 기술”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산업별 특화 솔루션 개발과 글로벌 기술 표준 선점, 개방형 혁신 생태계 구축을 핵심 목표로 한다. 전북도는 현대차, 네이버, SK텔레콤, KAIST, 전북대 등 산학연 기관과 손잡고 전주에 국내 최초의 피지컬AI 테스트베드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 제조업의 자동화 수준을 높이고 생산성·에너지 효율 개선을 도모한다는 구상이다.
전북도는 이번 사업을 지역 제조산업 고도화와 산업 전반의 혁신 거점 육성의 기회로 보고 있다. 글로벌 메가샌드박스 도입과 전담조직 신설, 특례 제도 개선 등을 통해 정책적 자율성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막대한 예산 투입에 비해 구체적 성과 지표가 부족하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로 대규모 연구개발 사업이 지역에 내려왔지만 실증 이후 상용화로 이어지지 못한 사례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처음 기획 단계부터 지역 정치권의 힘이 더해져 국무회의 통과와 예타 면제라는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특별자치도의 자율성을 활용해 기업과 연구기관이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송효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