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산불진화 ‘하늘 전력’ 구멍 뚫렸다…이원택 의원 “헬기 운용체계 전면 개선 시급”

송효철 기자 입력 2025.04.13 17:45 수정 2025.04.13 05:45

경북·경남 대형산불에도 헬기 65%만 투입…골든타임 놓쳤다
S-64·카모프 헬기 정비·부품난…야간진화는 사실상 불가능
“야간헬기 확대·신규 도입 예산 확보, 더 미룰 수 없다”

더불어민주당 이원택 의원(전북 김제·부안)은 최근 경북·경남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과 관련해, 산림청 산불진화 헬기의 낮은 가동률과 운영 비효율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제도 전반의 개편과 예산 확대를 촉구했다.

이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번 산불 진화에 실제 투입된 산불진화 헬기는 전체 52대(자체 50대, 임차 2대) 중 32대로, 가동률이 65%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물 담수량 기준으로도 전체 보유량의 73%만이 사용됐다.

특히 핵심 장비로 꼽히는 미국산 대형 S-64 헬기 2대는 산불조심기간(1월 24일~5월 15일) 중 정비를 이유로 운항이 중단돼 진화 전력에 큰 손실을 입혔다. 러시아산 카모프 헬기 8대도 부품 수급 문제로 다수가 작동하지 못한 상태이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해 장기적인 사용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 의원은 "산불조심기간 중 고위험 지역인 경북 등에 충분한 헬기 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실제 최근 6년간 산불피해 면적 중 경북이 55%(20,692ha)를 차지했지만, 안동·울진 거점에 배치된 대형헬기는 7대 중 고작 2대였고, 이 중 1대는 고장으로 가동이 불가능했다.

산불 초기 진화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헬기 골든타임' 관리도 미흡했다. 산림청은 산불 발생 후 50분 이내 물 투하를 목표로 하나, 산림청과 지자체 헬기 투입 시간 구분이 없어 정확한 이행률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산림청 자체 통계에 따르면 골든타임 이행률은 최대 72.4% 수준에 불과했다.

야간 진화역량은 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현재 야간 비행이 가능한 헬기는 수리온 3대, S-64형 4대로 총 7대에 불과하지만, 실제로 가동 가능한 헬기는 수리온 3대뿐이다. 전체 조종사 93명 중 야간 비행 훈련을 이수한 인력도 5명(5% 미만)에 불과해, 실질적인 야간 진화는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기상 조건 역시 까다로워 산불 발생 시 야간 운항은 더욱 제한된다.

이 의원은 “산불현장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요구는 ‘야간 헬기 투입을 확대해달라’는 것”이라며 “헬기 파일럿의 순환 훈련 확대와 군 헬기를 활용한 고정익 물탱크 도입 방안을 다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산 부족 문제도 지적됐다. 산림청은 2024년 대형 헬기 5대, 중형 2대를 임차할 수 있는 예산 360억 원을 확보했지만, 2025년에는 관련 예산이 전무하다. 이번 산불에 투입된 임차 헬기 2대조차 부품구매 예산 64억 원을 긴급 전용해 투입된 것으로 확인됐다.

신규 헬기 도입도 답보 상태다. 거점별로 대형 헬기 2대를 배치하기 위해 최소 19대가 필요하지만, 지난 2년간 도입된 헬기는 대형 1대, 중형 2대에 불과하다. 2025년 예산도 28% 감소한 525억 원으로, 대형 헬기 1대 가격(약 360억 원)을 고려할 때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이 의원은 “현실적으로 러시아 헬기의 부품 수급이 불가능한 만큼, 6년 안에 카모프 헬기는 전량 퇴역할 수밖에 없다”며 “산불 대응의 공백을 막기 위해 제도 개선과 예산 확보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송효철 기자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