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나선 김경수 후보가 22일 전주를 찾아 “지방정부가 스스로 발전할 수 있도록 과감히 예산과 권한을 넘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날 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당에서 열린 당원 간담회에서 지방분권을 핵심 국정 방향으로 제시하고, 전북 지역 현안과 청년정책, 하계올림픽 유치 방안 등을 제시했다.
김 후보는 “서울 중심의 국가운영으로는 더 이상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어렵다”며 “이제는 중앙정부가 아닌 지역이 스스로 설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전날 국회를 찾아 추경 예산 확보에 나선 김관영 전북지사의 사례를 언급하며, “지방정부의 수장이 중앙정부에 예산을 구걸해야 하는 현실이야말로 지방이 살아남을 수 없는 구조”라고 직격했다.
이를 위해 김 후보는 전국을 수도권·충청권·호남권·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등 5개 권역으로 나누고, 전북·강원·제주를 특별자치도로 지정하는 ‘5+3 체제’를 도입하겠다는 방안을 밝혔다.
그는 “각 권역에 1년에 5조원, 특별자치도에는 2조 원 수준의 자율 예산을 배정해 지역 스스로 예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는 더 이상 간섭하지 말고 국가 단위 인프라 구축에 집중해야 한다”며, “새만금 같은 국책사업이나, 도시 간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광역교통망은 정부가 책임지고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의 하계올림픽 유치도 지역에 떠넘길 일이 아니라, 중앙정부가 전북도와 함께 책임지고 준비해야 한다”며, “세계 도시들과 경쟁하려면 국제공항 같은 국제 수준의 기반시설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정책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했다. 그는 “전북에 조성된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첨단산업을 육성하고, 이에 필요한 인재를 지역 대학이 길러내야 한다”며 “대학 육성 권한도 지방정부에 넘겨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전북이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는 모빌리티, 2차전지, 농식품, 바이오 분야의 인재를 육성하면, 자연스레 기업이 찾아오고, 청년들이 지역에 머물 수 있는 일자리가 생긴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날 간담회에서 “전북은 대한민국의 역사와 민주주의를 견인해온 지역”이라며 “이제는 중앙정부가 지역을 끌고 가는 것이 아니라, 지역이 국가를 주도하는 시대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다운 국가, 지역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다짐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당원들은 전북의 의료공백 해소, 농생명산업 경쟁력 강화, 교통망 확충 등 다양한 지역 현안을 김 후보에게 전달했으며, 김 후보는 이를 정리해 대선공약에 반영할 뜻을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일정을 소화하며 전북 민심을 청취하고 지역 맞춤형 정책을 발굴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송효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