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설/칼럼 사설

사설-산촌의 르네상스를 여는 전북의 결단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입력 2025.04.30 13:51 수정 2025.04.30 01:51

전북특별자치도가 ‘찾고 싶은, 살고 싶은 풍요로운 산촌’을 만들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 나왔다. 단지 임업인의 소득 늘리기에만 초점을 둔 것이 아니라, 기후변화 위기 대응과 지방 소멸이라는 거대한 흐름에 대한 응답으로도 해석된다. 특히 이 전략은 지역 균형발전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신호탄이라 할 만하다.

그간 임업은 상대적으로 ‘돈이 안 되는 산업’으로 인식되며 농업에 비해 정책의 변방에 머물러 왔다. 제도적 지원도 미흡했다. 실제로 전북의 임가소득은 연 4,619만 원으로 농가소득의 92% 수준에 불과하며, 종사자의 대부분이 고령층이고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 기후변화, 공급 불안정, 미비한 가공·유통 체계는 임업의 구조적 한계를 더욱 심화시켜 왔다. 하지만 전북도는 이 같은 현실을 수용하는 대신, 도전과 전환을 택했다. 오는 2030년까지 임가소득을 6,000만 원으로 23% 끌어올리겠다는 목표 아래, 715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임가소득 향상을 위한 산림소득지원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한 것이다. 이처럼 실효성 있는 재정 지원과 명확한 목표 설정은 정책 실행의 동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이번 로드맵의 핵심은 ‘단기소득 임산물’에 대한 집중 투자다. 표고버섯, 두릅, 산나물 등은 친환경 소비 흐름에 적합하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다. 전북도는 이들 품목에 대해 지리적 표시제와 품질 인증을 강화하고, 전문가공업체 육성 등을 통해 유통·가공 인프라까지 체계적으로 정비할 방침이다. 단순히 생산에 머무르지 않고, 가공과 유통, 브랜드화를 포함한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재정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는다면, 임업도 농업 못지않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지역 주력 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무엇보다 임업의 산업화를 통해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구체적 실행 전략이 돋보인다.

또한 주목할 만한 점은 임업인을 단순한 지원 대상이 아닌, 하나의 경제 주체로 보는 시각의 전환이다. 직불금 제도와 보전지불제 확대는 임업을 지속가능한 생계 기반으로 만드는 데 있어 중요한 디딤돌이 될 것이다.

귀산촌 인구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산촌활성화 지원센터의 지정·운영도 정책의 체계성과 실현 가능성을 높여주는 요소다. 상담에서 창업지원까지 원스톱으로 제공되는 지원 체계는 산촌 진입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긍정적인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전북의 산림은 도 전체 면적의 70%에 달할 만큼 풍부한 자원이다. 그 활용의 지혜와 실행의 일관성이 더해진다면, 임업은 농업 못지않은 지역경제의 축으로 성장할 수 있다. 나아가 산림의 보전과 활용은 탄소중립과 생태전환이라는 국가적 과제의 해결에도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다. 기후위기 시대, 산촌과 임업의 전략적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지금, 전북도의 선제적 대응은 타 지자체에도 유의미한 이정표가 될 수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지속성과 참여다. 아무리 훌륭한 정책이라도 일회성에 그친다면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정책은 지속되어야 하고, 임업인과 주민은 변화의 주체로서 함께해야 한다. ‘산촌 르네상스’는 행정의 결단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도민의 이해와 공감, 젊은 세대의 도전, 그리고 산촌을 향한 새로운 시선이 더해질 때 비로소 완성될 것이다. 전북의 이번 로드맵이 전북을 넘어 대한민국 산촌의 미래를 밝히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