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육아종합지원센터(이하 센터)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기존 피해를 호소하던 센터 김 모 행정원에 이어, 과거 센터에서 근무하다 퇴사한 전직 직원 A씨가 “선임 팀장의 괴롭힘으로 직장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증언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피해자들의 주장이 잇따르면서 전북특별자치도의 관리·감독 책임 여부를 둘러싼 의혹도 한층 거세지고 있다.
사건은 지난 2월, 센터 소속 김 모 행정원이 직장 내 괴롭힘 조사 과정에서 자신 역시 피해자라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신고 의사를 밝혔다고 주장하면서 시작됐다.
센터 김 모 행정원은 해당 사실을 전북도청 주무관에게 전달했지만, 이후 행정 절차에서 이 신고 내용이 누락됐다고 주장해 고의적 은폐 의혹까지 불거졌다.
여기에 추가 증언도 이어졌다. 센터에서 근무하다 퇴사한 전직 직원 A씨는 선임 보육전문요원이었던 이 모 팀장의 괴롭힘이 퇴사의 직접 원인이었다고 밝혔다.
A씨는 당시 센터 내 또 다른 B팀장에게 피해 사실을 알렸으나, 문제 해결은커녕 해당 사실이 그대로 이 모 팀장에게 전달되면서 상황이 더 악화됐고, 오히려 자신이 조직에서 밀려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강조했다.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가해자로 지목된 이 모 팀장은 자신을 비판한 직원들을 상대로 반대로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즉, 피해자와 가해자 주장이 뒤엉킨 상태에서 사건의 진상은 더 복잡해지고 있다.
한 지역 언론 매체가 센터를 직접 찾아가 이 모 팀장에게 사실 확인을 요청했으나 이 팀장은 경찰에 업무방해라며 신고했고, B팀장 또한 인터뷰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정황에 따르면, 내부적으로 피해를 호소한 직원들의 목소리가 보호되지 못하고 관리 기관인 전북도가 외면하면서 사안이 장기화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이 개인 간 갈등을 넘어 제도와 관리 책임 논란으로 번진 만큼, 이번 사안을 둘러싼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