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에서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감염증 예방접종 지원을 남성까지 확대하는 조례가 제정돼 전국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서난이 의원(더불어민주당·전주9)은 최근 열린 제417회 임시회에서 「전북특별자치도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접종 지원에 관한 조례」를 대표 발의하고, 오는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례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남성까지 예방접종비 지원 근거를 마련한 사례다. 특히 기존 국가 예방접종 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18세 이상 여성과 12세~26세 남성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함으로써, 성별과 소득에 관계없이 더 많은 도민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서 의원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증은 백신을 통해 예방이 가능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가 지원은 1217세 여성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에 한정돼 있어 실질적인 예방 효과를 거두기엔 한계가 있다”며 “이번 조례를 통해 도내 26세 이하 모든 도민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HPV는 자궁경부암뿐 아니라 질암, 외음부암, 항문암, 그리고 구강과 인두 부위의 두경부암까지 유발할 수 있는 고위험 바이러스다. 예방접종만으로도 관련 암의 90% 이상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정부도 이를 국가필수예방접종 항목으로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남성들과 일정 소득 이상의 여성들은 국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스스로 예방접종 비용을 부담해야 했다. 서 의원은 이러한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조례 제정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자궁경부암 환자 중 20~30대가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HPV 감염 남성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려면 공공 차원의 적극적인 예방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도 HPV 예방접종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해마다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으며, 부산광역시의 경우 올해부터 26세 이하 여성에 대해 자체 예산으로 접종비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남성을 포함한 ‘26세 이하 전 도민’을 지원 대상으로 명시한 사례는 전북이 유일하다.
서 의원은 “비록 전북이 먼저 나서 조례를 제정했지만, 조속히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국가필수예방접종 대상에 26세 이하 모든 여성과 남성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번 조례가 전국적인 제도 개선의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