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내년도 정부예산안 규모가 9조 4,585억 원으로 확정됐다.
정부안 기준 역대 최대치로, 긴축 재정 기조 속에서도 새만금 개발과 미래 산업 분야 예산이 대거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신규 사업은 307건 2,445억 원으로, 총사업비 규모는 약 11조 8,000억 원에 달한다. 새만금~전주 고속도로 등 대규모 계속사업이 마무리되면서 전체 예산 확보 여건이 불리했지만, 전북도와 정치권의 협조를 통해 지난해보다 1,000억 원가량 많은 금액이 정부안에 담겼다.
특히 새만금 개발이 다시 속도를 낸다. 국제공항(1,200억 원), 인입철도(150억 원), 지역 간 연결도로(1,630억 원) 등 핵심 사회간접자본 사업이 요구액 전액 반영됐다. 내부개발(1,760억 원)과 수목원(871억 원)도 예산이 확보돼 기반시설 조성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미래 신산업 분야에서도 성과가 나타났다. 피지컬 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400억 원), 인공지능 신뢰성 혁신 허브센터(10억 원) 등 AI 관련 사업을 비롯해 이차전지 제조공정 안전관리 지원센터(15억 원), 전기상용차용 배터리 평가기반 사업(22억 원) 등이 포함됐다. 특장산업 부문에서는 건설기계 상용화 지원(16억 원), 수소연소 엔진형 대형트럭 기술개발(40억 원) 등이 예산에 반영됐다.
문화·복지 인프라 확충 예산도 새로 담겼다. 전주교도소 이전 부지에 들어설 국립모두예술콤플렉스(2억 5,000만 원), 글로벌 태권도 인재양성센터(2억 원), 전주 스포츠가치센터(2억 원) 등이 신규 사업에 포함됐다. 복지 분야에서는 고령친화산업 복합단지 조성(3억 원)과 외국인 출국지원센터(6억 원)가 반영됐다.
기업 지원 인프라 확충도 주목된다. 전북스타트업파크(5억 원)와 디자인진흥원(1억 원), 사회적경제 인재개발원(3억 원) 건립 예산이 확보돼 창업생태계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예산 확보 과정에서는 전북도와 지역 정치권의 공조가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병도 국회 예결위원장,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도당위원장, 김윤덕 국토부 장관, 정동영 통일부 장관 등 지역 인사들의 지원도 힘을 보탰다.
전북도는 국회 심의 단계에서 증액 활동을 이어갈 계획이다. 본회의 의결까지 상임위·예결위 심사 과정에서 미반영 사업의 추가 반영을 요구하고, 지역 국회의원들과 협력해 예산 확보를 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송효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