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사설/칼럼 칼럼

칼럼-전북 하계올림픽 유치, 지역공약 아닌 국가 과제로 봐야

전라매일관리자 기자 입력 2025.05.22 17:50 수정 2025.05.22 05:50

전북특별자치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후보지 선정에 이어 최종 개최 유치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올림픽 유치는 단순한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전략사업과 같다. 그러나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나선 후보들은 하계올림픽 유치를 ‘전북 대표 공약 1호’로 제시하고 있어 아쉬움이 크다,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인 올림픽은 특정 지역의 단기 선거용 공약으로 치부할 수 있는 가벼운 사안이 아니다. 이제는 이 과제를 차기 정부의 국가 아젠다로 격상시켜야 할 때다.

하계올림픽은 세계 200여 개국이 참여하는 지구촌 최대 규모의 행사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심사 기준이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 단순히 경기장과 숙박시설만으로는 경쟁력이 없다. 지속가능성, 시민참여, 교통인프라, 환경적 가치, 국가적 지원 계획까지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바로 이 점에서 하계올림픽 유치는 ‘전북만의 일’이 될 수 없다. 정부 차원의 종합 지원이 전제되지 않는 한, 전북의 의지와 준비만으로는 현실화가 어렵다.

물론 전북은 최근 수년간 스포츠 인프라 확충에 힘써 왔다. 2015년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2023년 아시아역도선수권대회 등을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국제 이벤트 유치 경험도 축적했다. 새만금 신공항과 국제항만 건설, GTX급 광역 교통망 확충 구상 등도 하계올림픽 유치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역적 준비와 더불어 국가적 차원의 뒷받침은 필수다. 그래야만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사례를 보면, 1988년 서울올림픽은 당시 전두환 정부가 국가 차원의 총력전을 펼쳐 유치에 성공했고,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역시 세 차례 도전 끝에 노무현 정부에서 기반을 마련하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일관된 국가 지원 아래 결실을 맺었다. 올림픽 유치가 성공하려면 정권과 지역을 초월한 국가적 컨센서스와 연속성이 핵심이라는 사실을 이들 사례는 분명히 말해주고 있다.

외교부와 문화체육관광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 부처가 참여하는 범정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IOC 및 주요 국제 체육단체와의 교섭력을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단순히 ‘전북 몫’을 챙기기 위한 공약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국가 위상을 높이고 균형발전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현하는 실질적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

또한 국민적 공감대를 얻는 과정도 매우 중요하다. 하계올림픽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대형 프로젝트다. 국민 세금이 대규모로 투입되는 만큼, 개최지 선정부터 추진 전략, 기대 효과까지 투명하게 공개하고 토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과잉 시설 투자 없이도 지속 가능한 올림픽을 실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해법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연대해 개최하기로 약속한 도시와의 협력체제도 더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

하계올림픽 유치는 단지 체육 이벤트가 아니다. 문화, 외교, 경제, 사회 전반에 걸친 국가 발전 전략이다. 전북이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지금, 이를 일개 지역의 선거 공약으로 축소해서는 안 된다. 전북 몫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몫으로, 지방이 아닌 국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 차기 정부는 이 과제를 단순히 지역공약으로만 바라보는 데 그치지 말고, 지방과 국가가 상생하도록 국가 아젠다로 힘을 실어주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주)전라매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